본문 바로가기
영어하자/Eng_문법

[7주차 문법] 동명사, 분사 문법복습

by shiningmoon 2016. 8. 13.

동명사


1. 존재이유 : 합목적성

- 한 문장안에 1개 이상의 동사를 활용하여 표현 범위를 넓히고 구체적인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존재

- 동사원형 뒤에 -ing를 붙여 다른 품사(명사)로 사용하려는 목적


2. 형태 : 동사원형 뒤에 -ing



3. 기능 및 활용

동명사는 동사원형뒤에 -ing를 붙여 새로운 품사(명사)로 활용하려는 것이다.

이 동명사는 아래와 같이 주어, 보어, 타동사의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활용된다.

각각의 경우를 살펴보면


1) 주어

Getting up early in the morning is good for the health

Teaching requires tact

Traveling by train  is very interesting

* 동명사가 주어인 경우에 부정사구처럼 가주어 it이 사용되기도 한다.

It is ridiculous doing such a mean thing.


*여기서 잠깐

일반적인 어순 : 관 부 형 명 ( a very nice guy) 이지만

예외로 such a 형 명 (such a nice guy)

So(how) 형 a 명 가능


2) 보어

The best kind of excercise in summer is swimming ( 동사의 진행형으로도 볼 수 있지만,  운동의 종류가 수영하는 것은 아님)

We call such an act cheatig (우리는 그러한 행동을 사기라고 부른다)


3) 타동사의 목적어 (동사 + 동명사 : ~하는 것)

I enjoyed reading it

I like reading in bed


일부 3형식 타동사는 동명사만을 목적어로 취함 

* include, finish, mind, enjoy, escape, give up, admit, permit, put off, postpone, avoid, stop, suggest, consider, deny

- resent, suggest, repent(뉘우치다), can not help(~하지 않을 수 있다), put off(연기하다), risk

- 한 일(동명사를 목적어로) 그리고 안 한일(to 부정사를 목적어로)


4) 전치사의 목적어

Are you afraid of speaking in public? *단, to 부정사는 전치사의 목적어로 못쓰임

Between laughing and crying, they were like mad 


* 동명사의 동사적 특징 3가지 

1) 목적어 수반

2) 부사(구)의 수식을 받을 수 있음

3) 의미상의 주어를 가질 수 있음 : 동명사 앞의 소유격 형태

4) 관사의 부가, 형용사의 수식, 복수형을 만들 수 있다

5) 수동형, 완료형도 만들 수 있다

수동형 : being+pp : I object to being treated like a child

완료형 : having+pp : He was suspected of having embezzled large sums of money 


**동명사와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삼는 동사 (의미상의 차이가 거의 없음)

계속해서 사랑하기 시작하다 : begin, continue, decline, fear, intend, neglect, omit, purpose 



* 동명사 구의 관용어구 정리!!





분사


1. 존재이유 : 준동사의 태동에 따라

- 만들다(동사) 만드는 것(to 부정사, 동명사), 만들기 위해(to 부정사, 동명사), 만드는 또는 만들어진(분사)가 필요하게 됨

- 경제성의 법칙 그리고 합의

- 동사를 pp형태(과거분사) 또는 동사원형 뒤에 -ing(현재분사)를 붙여 다른 품사(형용사)로 사용하려는 목적, 분사는 결국 형용사


2. 형태 

-동사원형 뒤에 -ing : 현재분사(능동의 개념)

-pp : 과거분사(수동의 개념)


3. 기능 및 역할

문장내에서 분사는 명사를 수식(전치수식, 후치수식), 보어(주격보어와 목적격보어), 분사구문(부사절->부사구)로 쓰인다.

각각의 형태를 아래에서 살펴보면


1) 명사를 수식

- 전치수식

자) Boiling water, the following example

자)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

자) A broken glass


*현재분사 90%는 뒤에서 명사를 수식하지만, 자동사가 현재분사가 된 경우는 앞에서 수식한다.

이유는 타동사는 뒤에 새끼목적어가 오기 때문에 명사를 후치수식 하는 것이 쉽고, 자동사를 뒤에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앞에서 수식하는 것이 쉽다.


- 후치수식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cities are

Children (who are) brought up in the country are 


* 자동사는 수동태가 없기 때문에 과거분사의 형태로 절대로 명사수식 불가


2) 주격보어와 목적격보어

- 주격보어(명사수식 이라고 보면 좋음)
The mystery remains unsettled
That people look perplexed (보어가 pp일때 ~한채로 해석)
He stood leaning against a tree(유사보어) learn : 기대다(자동사)

- 목적격보어
I found him lying on the floor
I am sorry to have kept you waiting

* with 명사 pp(현재분사) : 동시동작 분사구문 : ~한채, ~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