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찰하자17

[5, 6주차] 세계사(World history), 인간중심 시대로의 변화! 근현대(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세계사_근현대(2/26, 일) 1) 절대왕정 2) 절대 왕권 붕괴 3단계 - 영국의 권리장전 - 미국의 독립선언서 - 프랑스 인권선언, 나폴레옹의 역할 빈체제와 유럽 시민혁명 - 대프랑스 동맹 - 빈체제 세계사_근현대(3/5, 일) 자유주의 정치체제 런던 만국 박람회 국민주의 정치체제 독일 통일과정 이태리 통일과정 제 1차 세계대전 윌슨의 14조와 국제연맹 남북 전쟁과 다음 세기의 주역-미합중국 사회주의와 다음 세기의 주역-소비에트 연방 공화국 1) 절대왕정 정의 : 16~18세기 중세 봉건 사회에서 근대 시민 사회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나타난 절대 군주에 의한 정치 지배 체제. 근대 초기 유럽에서 보인 전제적 정치형태, 시민혁명으로 가는 단초제공 인과 : 교황권 붕괴의 3단계인 르네상스 시기, 신대륙 발.. 2017. 2. 27.
[4주차] 세계사(World history), 신중심의 사회! 중세(Medieval period) 기독교 문화, 신 중심의 중세 *봉건제도와 장원제란? *프랑크왕국의 탄생 - 로마 교구장과 프랑크왕국의 카롤루스 대제 - 카톨릭과 동방정교의 분열의 씨앗 *중세민권의 가능성과 기독교 문화 * 니케아 공의회와 게르만족의 기독교화 * 중세, 황제와 교황의 동맹관계 * 황제권과 교황권의 대립과 강화되는 교황원 - 수도권 - 카노사의 굴욕 - 보르슴 협약 *황제권의 몰락과 백년전쟁 - 십자군 전쟁 - 백년전쟁 *교황권 붕괴의 3단계 - 르네상스 - 지리상의 발견 - 종교개혁 루터, 칼뱅 *30년 전쟁과 베스트 팔렌조약(1648)-교황권의 몰락 국민국가의 탄생 20) 로마의 신진문화가 프랑크 왕국 시대 파괴되지 않고 융화될 수 있었던 까닭은 21) 프랑크왕국의 샤를마누가 새로운 서로마제국 황제의 관을 쓰게된 경위.. 2017. 2. 13.
[3주차] 세계사(World history), 문명의 시작을 알아보자! 고대(Ancient period) 세계사, 고대 복습 및 예습일정 역사는 왜 배우는가?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판단력, 현재에 대한 통찰을 위해 *판단능력 - 현재와 미래 *기업체에서 역사를 왜 강조하는가? *그렇다면 역사를 통해 판단능력은 어떻게 키울 수 있는가? *공동체 속 개별 주체들의 자유와 평등의 전진을 작은 테마로 잡고 세계 역사를 공부하는 장점은 무엇인가? - 근대민원의 역사 - 동서문화 결합의 역사 정령숭배 중심의 고대 * 인류의 조상에 대해서 - 네안데르탈인과 크로마뇽인 * 고대 국가의 탄생, 신권적 전제군주 * 문명이란 무엇인가 - 문화란 무엇인가 - 예술이란 무엇인가 *고대문명의 발상지의 특징과 보편적 통치와는 벗어난 2곳 - 그리스가 고대 국가에서 유일하게 자유와 평등이 살아있을 수 있었던 이유 *4대문명 - 메소포타.. 2017. 2. 12.
[2주차] 법의 무지함을 탈피하자! 법(LAW)이란 무엇인가? LAW-001) 천부인권이란 무엇인가? 정의와 인과 현재적 의제에 대해 논하시오. 천부인권이란 인간이 태어날 때 부터 가지는 천부의 권리가 있다는 말로 근대의 계몽적 자연법사상에서 제창된 자연법론의 하나입니다. 이 용어가 쓰이게 된 것은 시민혁명기 서구 계몽주의자들이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자유롭고 평등한 인격과 스스로의 행복을 추구하는 권리를 가진다는 자연론(천부인권설)을 주장하면서부터 입니다. 근대적인 자연권사상은 영국의 홉스, 로크, 프랑스의 루소 등의 근대자연법론과 사회계약설에 의하여 형성되어 17~18세기 영국, 미국, 프랑스 시민혁명의 사상적 지도이념이 되었습니다. 시민혁명의 성공으로 자연법 사상은 영국의 권리장전, 미국 버지니아주 헌법의 인권선언과 미국독립선언, 프랑스의 인권선언에서 표현되었으.. 2017.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