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하자/Eng_문법

가정법(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표현하는 것)

by shiningmoon 2016. 9. 24.

1. 가정법이란?

If i became a scientist, i would make a robot

가정법을 공부하면서 가장 염두해야 할 점은! 무엇이 가정법인가, 가정법운 어떻게 해석되는가, 가정법 시제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이다

가정법은 만약 ~한다면, ~할텐데 같은 뉘앙스로 말하는 사람의 심적태도를 가정해서 묘사하는 방법이다. 주로 would, could, should, might와 같은 조동사로 표현된다.

Would : ~할 것 같다 70%
Should : ~해야 할 것 같다
Could : ~할 수 있을 것 같다 60%
Might :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50%

Would는 많은 사람들이 단지 will의 과거 표현이라고 착각하는데 이는 굉장히 큰 오해! Would가 가장 많이 쓰이는 건 가정법에서 70%정도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로써(~할 것 같다)이다.


- 가정법 현재(~할 것 같다)

형태 : If 주어 과거동사, 주어 +(would, could, might, should)

If I became a scientist, I woud make a robot to protect our country.

주절의 would는 가정법 현재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만약 앞에 if절이 온다면 if절의 시재는 한 단계 아래(과거)로 표현된다.

사실 if i became 이라는 부사절은 정상적시제라면 과거를 나타내지만 would가 있는 문장에서는 가정법 이라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과거로 표기 된 것이기 때문에 현재로 해석이 된다.


- 가정법 과거(~했을 것 같다)

형태 : If 주어 had pp , 주어 (would/could/ might/ should) have pp

If i had been rich, i would have led a very different life.


- 가정법 미래(출제확률 낮음)

미래의 불확실한 일을 가정하거나 정중한 태도를 지닌다

If +주어+should+동사원형, 주어 will(would, can, may, should)

If the sun should explode, all living things would cease to exist

주절의 시제로 올 수 있는 경우의 수가 will, would 등 다양해서 가정법 문제로는 거의 출제가 되지 않는다. 주절에 can, may, should 가 왔을 때 부사절에 if should 동사원형이 올 수 있다는 것만 인지.

If절로 시작하는 가정법이 대표적이지만 이 외에도 i wish, as if, it's time, without+명사, otherwise 등도 가정법을 만들 수 있다.

I wish 주어 + 동사의 과거 혹은 대과거
=나는 바란다 ~이면(였으면) 좋을텐데

-> i wish 가정법 종속절의 과거동사는 현재로, 대과거는 과거로 해석한다.


3. 혼합가정법
말 그대로 시제가 혼합되어 쓰인 가정법으로 과거에 그랬다면, 현재에 그럴 것 같다.는 뜻이다

혼합가정법 문장에는 주로 주절에 현재 시제를 나타내는 단서가 있는데 이 단서는 언제나 가정법을 이끄는 if절의 시제보다 중요하다.

If they had studied english harder, they might speak it fluently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