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동사 + 전치사
자동사+전치사 | 뜻 | 자동사+전치사 | 뜻 |
abide by (=obey) | ~에 따르다, 지키다 | apply to | ~에 적용하다 |
agree to | ~에 동의/승낙하다 | account for | ~을 설명하다 ~의 비율을 차지하다 |
bring about | ~를 가져오다, 불러일으키다 |
count on =depend on=rely on | 의지하다, 기대하다 |
consist of | ~로 구성되어 있다 | consist in | ~에 존재하다 |
capitalize on | ~을 이용하다, 편승하다 |
cling to | ~에 매달리다/준수하다 |
compensate for =make up for |
보충/충당하다 | comply with | ~을 준수하다 |
commensurate with | ~에 상응하는 | collaborate with | ~와 협동하다 |
come into | 효력을 나타내다 | come to (an end) | ~으로 끝나다 |
concentrate on | ~에 집중하다 | confer with | ~와 상의하다 |
deal in | ~에 종사하다, ~을 다루다 | deal with | ~을 다루다, 취급하다 |
drink to (the health of A) | A의 건강을 위해서 마시다 | expand into | ~까지 확장하다 |
go up = increase, rise | (수/양이)늘다, 값이 오르다 |
go Into (effect) | 효력을 나타내다 |
inquire after | ~의 안부(건강)을 묻다 | Interfere with | ~를 방해하다 |
lead to | ~의 결과에 이르다, ~을 초래하다 |
object to -ing | ~에 반대하다 |
refrain from | ~을 삼가/자제하다 | respond/reply to | ~에 응답하다 |
result from | ~의 결과로 발생하다 | result in | ~의 결과를 낳다 |
turn to | ~에 의지하다 | think lightly of | 가볍게 생각하다 |
retire from | ~은퇴하다 | refer to | ~을 참고하다 |
spread out | ~로 뻗다 | spread over | ~에 퍼지다 |
show up = appear= be present | 나타나다 | screen out | ~을 가려내다 |
sympathize with | ~을 동정하다 | stick to =adhere to (+policies/rules/standards) |
~에 충실하다, ~을 고수하다 |
2) 타동사 + 명사 + 전치사
동사+명사+전치사 | 뜻 | 동사+명사+전치사 | 뜻 |
make allowance for | ~을 고려하다/참작하다 | make choice of | ~을 고르다 |
make room for | ~의 자리/공간을 만들다 | make the most of | ~을 최대한 활용/이용하다 |
put into effect | ~을 실행시키다 | have a connection with | ~와 관계가 있다 |
keep in good condition | ~을 좋은 상태로 유지하다 | do business with | ~와 거래하다 |
take into account | ~을 고려하다 | pay attention to | ~에 주의를 기울이다 |
cause damage to | ~에 손해를 입히다 | do harm to | ~에게 해가 되다 |
have no choice but to do | ~할 수 밖에 없다 | have an effect on | ~에 영향을 미치다 |
do business with | ~와 사업하다 | take notice of | ~에 주의/주목하다 |
file a complaint with | ~에 불만을 제기하다 | make complaints against | ~에 대해 불평하다 |
3) 자동사 + 부사/ 자동사 + 부사 + 전치사
agree to | (제안을) 받아들이다 | look (stare) at | ~를 쳐다보다 |
agree with | (사람에) 동의하다 | look (search) for | ~를 찾다 |
apologize to | ~에게 사과하다 | look into | ~를 조사하다 |
apply for | ~에 지원하다 | pay for | ~에 대가를 지불하다 |
ask for | ~를 요구하다 | suffer from | ~로 고통 받다 |
believe in | ~를 믿다 | talk about | ~에 대해 말하다 |
belong to | ~에 속하다 | talk to (with) | ~와 대화하다 |
care about | ~를 신경 쓰다 | think of (about) | ~를 생각하다 |
care for | ~를 좋아하다, 돌보다 | wait for | ~를 기다리다 |
consist of | ~로 구성되다 | break up with | ~와 절교하다 |
concentrate on | ~에 집중하다 | catch up with | ~를 따라잡다 |
depend (rely) on | ~에 의존하다 | cut down on | ~를 줄이다 |
die of (from) | ~로 사망하다 | go out with | ~와 사귀다 |
get on (off) | ~에 타다 (내리다) | come up with | ~를 찾아내다, 제시하다 |
get over | ~를 극복하다, 회복하다 | keep up with | ~와 보조를 맞추다, 연락하다 |
hear about | ~에 관해 듣다 | look forward to | ~를 고대하다 |
hear from | ~로부터 소식을 듣다 | put up with | ~를 참다 |
listen to | ~를 듣다 | run out of | ~를 다 써버리다 |
laugh at | ~를 비웃다 | look after | ~를 돌보다 |
leave for | ~로 떠나다 |
5) BE동사 + 형용사 + 전치사
기타형으로..
1. (사람주어)+ (be +감정형용사) + that 절
she was happy (that her daughter passed the test.)
주어 타동사구 목적어
(종류)happy, angry, glad, sorry...
2. ( 사람주어) + (be + 형용사) + to-v or that 절
I am aware that she is interested in living abroad.
주어 + 타동사구 + 목적어
He is sure to win= I am sure (that) he will win
주어 타동사구 목적어
예문] afraid of + 단순명사/ to-v / that 절 what절
aware, certain, conscious, proud, sure, confident,convinced,fearful,ignorant
3. be + 형+ to do
you are free to link to this website
=조동사 역할을 하는 형용사
(종류) be going to-v able to v, likely to v, sure to v, certain to v ,about to v, bound to v, due to v, liable to v, inclined to v, supposed to v, willing to v, ready to v, ready to v, reluctant to v,eager to v,anxious to v
다음 문장은 to부정사를 동사로 보고 형태를 규정한다.
이 형용사들이 be동사와 결합되어 (타)동사적 의미를 이뤄 to부정사나 that절의 목적어를 취하거나, 조동사 역할의 의미를 이루는 형용사의 거의 전부이다. 현재 우리는 영문법을 공부하는 이유가 해석을 돕기 위함임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에 배운 영문법이 문장에서 어떻게 녹아나있는가를 연습하고 있다. 쌤이 이 말을 다시 언급한 이유는 본말이 전도되어 문장에서 형식이 무엇이 맞추는 것이 주가 돼서는 안된다는 것을 말하고 싶기 때문이다. 형식을 구분하는 것은 해석을 잘하기 위해서 혹은 영작을 잘하기 위해서임을 반드시 기억하고, 굳이 형식을 구분하기 애매한 문장이 나올 경우 (쌤은 영문법의 쓸모를 위해 이와 같이 다시 그 형태를 규명해줄 터지만) 사실 ‘이런 형태는 이렇게 해석된다’고 본인이 인지하고 이와 비슷한 형태의 문장을 본인이 다시 해석할 수만 있고 영작할 수 만 있다면 형식 구분은 사실 필요가 없을 지도 모른다.
be likely to-v의 문장의 경우 be likely /to-v/ 혹은 be likely to-v 이런식으로 하나의 의미 단위를 구성하는 구 위주로 형태를 구분하면 추후 해석이나 영작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하자 > Eng_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침표, 대쉬, 하이픈, 콜론(:), 세미콜론(;), 쉼표의 용법 (1) | 2016.10.01 |
---|---|
가정법(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표현하는 것) (0) | 2016.09.24 |
[8주차 문법] 분사구문, 부사절,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 문법복습 (0) | 2016.08.24 |
[7주차 문법] 동명사, 분사 문법복습 (0) | 2016.08.13 |
[6주차 문법] 문법복습(to 부정사) (0) | 2016.08.06 |